- 1-1. 소화관 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한 접근
-
식도, 위, 십이지장의 해부학과 생리학을 이해한다.
- 1. 소화기 방사선학
-
- 1) 소화기관의 정상 해부학을 알아야 한다.
- 2) 소화기질환 진단을 위한 방사선학 검사의 논리적 순서와 비용-효과를 알아야한다.
- 3) 소화기질환 진단을 위한 방사선학적 검사의 적응증, 금기증, 합병증 등을 알아야 한다.
- 4) 다음 검사들에서 나타나는 소화기질환의 방사선학적 특징과 병리기전을 알아야 한다.
단순 촬영, 위장관 바리움 조영술, 전산화 단층촬영, 초음파검사, 자기공명촬영, 혈관조영술, 중재적 검사, 방사선동위원소 스캔(신티그라피)
- 5) 소화기질환 진단과 치료을 위한 중재적 검사와 시술의 적응증, 금기증, 합병증 등을 알아야 한다.
- 2. 소화기 병리학
-
- 1) 소화기관의 정상 조직을 알아야 한다.
- 2) 소화기관에서 염증, 이형성, 신생물 질환에 따른 조직 변화 양상을 알아야 한다.
- 3) 소화기 질환의 진단을 위해 생검이 필요한 적절한 시기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.
- 4) 생검 조직의 병리적 진단을 위해 도움이 되는 적절한 임상정보를 병리의사에게 제공할 줄 알아야 한다.
- 5) 소화기 질환 진단과 치료에서 생검, 세포진단학검사 등의 한계점을 알아야 한다.
- 6) 생검과 수술적 표본 등의 병리 소견과 임상적 진단 간의 상이점을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
- 7) 분자생물학적 병리검사의 특성과 유용성을 알아야 한다.
- 3. 소화관 호르몬
-
- 1) 위장관 펲티드 family의 특징을 알고 이해하여야 한다.
- 2) 호르몬과 조절 펲티드의 주요 작용을 알아야 한다.
- (1) gastrin
- (2) cholecystokinin
- (3) secretin
- (4)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(VIP)
- (5) glucagon
- (6) neuropeptide Y
- (7) pancreatic polypeptide
- (8) peptide YY
- (9) bombesin
- (10) somatostatin
- (11) substance P
- (12) tachykinins
- (13) opioids
- 3) 위장관 호르몬의 신호전달 기전을 이해하여야 한다.
- 4) 위장관 펲티드의 과생산에서 비롯되는 임상 증후군의 임상상, 진단 및 치료법을 숙지한다.
- (1) gastrinoms
- (2) VIPoma
- (3) somatostatinoma
- (4) insulinoma
- (5) glucagonoma
- 1-2. 소화관 내시경
-
- 1) 다음 내시경 시술의 적응증, 금기증, 결과의 해석, 합병증 및 한계에 대해 이해하여야 한다.
-
- (1) 상부위장관 내시경
- (2) 2소.대장 내시경
- (3) S결장 내시경
- (4) 내시경 초음파
- (5) 복강경
- (6)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
- (7) 비정맥류 출혈의 치료: 지혈클립법, 전기응고소작법, 알곤 응고 조사법, 주사요법
- (8) 정맥류 출혈의 치료: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술, 내시경적 경화요법
- (9) 식도확장술: 공기압 확장술, TTS 풍선 확장술, 부우지 확장술
- (10) 경피적 위루술 (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)
- (11) 용종 절제술
- (12) 내시경적 레이저 치료
- (13) 점막 절제술, 점막하 박리술
- (14) 유두부 절개술 및 유두부 발룬 확장술
- (15) 담석제거술, 췌관 결석 재거술
- (16) 담도배액술:ENBD, ERBD, 췌관 배액술
- (17) 담도경 검사
- (18) 인공관 삽입술: 식도, 유문부, 대장, 담도
- (19) 색소내시경
- 2) 다음의 내시경적 시술을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.
-
- (1) 상부위장관 내시경
- (2) 대장 내시경
- (3) S결장 내시경
- (4) 복강경
- (5)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
- (6) 비정맥류 출혈의 치료
- (7) 정맥류 출혈의 치료
- (8) 식도확장술
- (9) 용종 절제술
- 1-3. 식도 질환
-
- 1) 식도 운동 질환
-
- (1) 하부식도 괄약근의 해부학적 구조와 신경계를 이해하여야 한다.
- (2) 연하 곤란의 병력청취 및 감별진단을 할 수 있어야 한다.
- (3) 흉통을 동반하는 환자에서 식도와 심장 질환과의 감별을 할 수 있어야 한다.
- (4) 식도 운동 질환을 분류하고 각 질환의 식도조영술 및 식도 내압 검사소견을 감별할 수 있어야 한다.
- (5) 각각의 식도 운동 질환의 치료 방침을 숙지한다.
- (6) 식도 이완 불능증의 병태생리, 식도내압 소견과 치료 방침을 알아야 한다.
- (7) 식도 이완 불능증의 내시경적 치료인 공기압 확장술과 보튤리늄 독소 주사의 원리와 한계를 이해하 여야 한다.
- (8) 미만성 식도 경련의 병태생리, 식도 내압 검사 소견 및 치료 방침을 알아야 한다.
- 2) 위식도 역류 질환
-
- (1) 위식도 역류의 병태생리에 대해 이해하여야 한다.
- (2) 위식도 역류 질환을 유발 또는 억제하는 인자를 숙지한다.
- (3) 역류성 식도염의 내시경적 소견을 분류하고 숙지한다.
- (4) 위식도 역류질환의 치료방침을 숙지한다.
- 1-4. 소화성 궤양 질환과 관련 질환
-
- 1) 위산 분비 기전에 대해 이해한다.
- 2) 공격인자와 방어인자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.
- 3) 소화성 궤양의 정의, 자연경과, 역학에 대해서 이해한다.
- 4) 위궤양 및 십이지장 궤양의 발생기전에 대한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.
- 5) 소화성 궤양에서 Helicobacter pylori의 역할에 대해서 설명한다.
- 6) 소화성 궤양의 임상상 및 진단방법을 열거한다. 특히 양성궤양과 악성 궤양을 감별할 수 있어야 한다.
- 7) 소화성 궤양 치료 약제의 종류 및 기전을 이해하고 각각의 부작용을 설명한다.
- 8) Helicobacter pylori의 진단 방법과 진단 검사의 적응증, 제균요법의 종류와 그 적응증에 대해 숙지한다.
- 9) 소화성 궤양의 합병증을 열거하고 진단 및 치료법에 대해 숙지한다.
- 10) 소화성 궤양의 외과적 치료 적응증과 방법에 대해 숙지한다.
- 11) 소화성 궤양의 외과적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열거하고 이에 대한 치료법을 설명한다.
- 12) 졸링거-엘리슨 증후군의 병태생리, 임상상, 진단 및 치료법을 숙지한다.
- 13) 소화성궤양 환자에서 혈중 가스트린 측정이 필요한 경우와 고가스트린 혈중이 관찰되는 경우를 설 명한다.
- 1. 위염
-
- (1) 급성위염을 유발하는 원인을 숙지한다.
- (2) 위염과 Helicobacter pylori의 연관성을 이해한다.
- (3) 위염의 분류법을 설명한다.
- (4) 위염의 치료원칙을 이해한다.
- (5) 아스피린/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에 의한 위점막손상의 병태생리, 임상상 및 치료법을 설명한다.
- (6) 스트레스성 위점막손상의 위험요소 및 치료법을 이해한다.
- 2. 소화관 감염
-
- (1) 점막 면역체계를 포함한 점막방어기전의 요소를 이해한다.
- (2) 정상 장관 세균총의 구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항생제 사용이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.
- (3) 각각의 병원균 감염에 대한 역학, 임상상, 병독인자를 숙지한다.
- (4) 항생제 사용의 적응증과 금기를 숙지하고 약제 내성기전을 이해한다.
- (5) 식도 감염 : 식도 감염증의 원인을 열거하고 임상상, 진단, 각각의 치료법을 숙지한다.
- 1-5. 흡수 장애 질환
-
- 1)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을 이해하여야 한다.
- 2) 기본 영양 요구량(basic nutrition requirement)을 이해하여야 한다.
- 3) 개개 질환에 있어서 영양소 요구량의 변화와 특징을 알아야 한다.
- 4) 장관 영양(enteral feeding)에 있어서 처방 구성과 실제적인 방법에 대해서 이해한다.
- 5) 경정맥 영양(parenteral nutrition)의 처방 구성과 실제적인 방법에 대해서 이해한다.
- 6) 개개 질환에 특이적인 음식 구성을 처방할 수 있어야 한다.
- 7) 흡수 장애
- 1. 흡수장애의 원인을 분류한다.
- 2. 흡수장애의 임상소견에 대하여 설명한다.
- 3. 흡수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약물을 열거한다.
- 4. 흡수장애의 가장 간단하며 중요한 선별검사를 열거한다.
- 5. 지방 흡수장애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진단방법을 순서적으로 열거한다.
- 6. 탄수화물 흡수장애에 대한 검사방법을 열거한다.
- 7. 소장성 흡수장애와 췌장성 흡수장애를 감별하는 진단 방법을 설명한다.
- 8. 흡수 장애의 치료원칙을 숙지한다.
- 9. Short bowel syndrome의 원인 및 증상의 발현 기전을 설명한다.
- 10. 세균의 과성장과 관련이 있는 흡수장애를 진단한다.
- 11. 단백누출성 장염의 원인과 진단법을 숙지한다.
- 12. 우유섭취시 설사, 경련성 복통을 호소하는 경우 의심되는 상태를 평가한다.
- 13. 다음 검사에 대해 이해하고 결과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.
- (1) 대변의 미생물 검사 및 기생충 검사
- (2) 대변의 전해질검사와 지방정량검사
- (3) D-xylose test
- (4) Schilling test
- (5) breath test: lactose intlerance, bacterial over growth, bile acid malabsorption
- (6) 소장과 대장의 점막생검
- 1-6. 염증성 장질환
-
- 1. 장관감염
-
- 1) 세균성 설사의 병태생리를 설명한다.
- 2) 설사를 유발하는 세균측 인자를 설명한다.
- 3) 장관 감염의 성립에 관여하는 숙주 인자를 열거한다.
- 4) 장관 감염시 주요 임상 증상의 발생기전을 설명한다.
- 5) 장관 감염의 치료 원칙을 설명한다.
- 6) Enterotoxin을 정의한다.
- 7) Vibrio cholerae 감염때의 설사 기전에 대하여 설명한다.
- 8) 위막성대장염(pseudomembranous colitis)의 원인, 증상, 진단 및 치료를 설명한다.
- 9) 다음 검사에 대해 이해하고 결과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.
대변 백혈구, 원충 및 기생충 검사
대변, 장액, 생검의 배양검사
점막생검검사
대변이나 체액의 항원 검사(enzyme immunoassay, fluorescent antibody)
신속 특이 검사법: DNA probes 혹은 중합효소 연쇄반응
- 2. 결핵성 장염
-
- 1) 결핵성장염의 원인 및 발병과정을 설명한다.
- 2) 결핵성장염의 호발부위와 병리학적 소견을 설명한다.
- 3) 결핵성장염의 주요 임상상을 설명하고 그 합병증을 열거한다.
- 4) 결핵성장염의 진단방법을 열거하고 이와 감별하여야할 질환을 열거한다.
- 5) 결핵성장염의 치료적 진단법(therapeutic diagnosis)에 대하여 설명한다.
- 3. 염증성 장질환
-
- 1) 염증성 장질환의 정의를 이해한다.
- 2)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 병의 임상상을 설명한다.
- 3)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 병의 면역학적 이상소견을 설명한다.
- 4)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 병의 장내 합병증을 설명한다.
- 5)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 병의 장외 합병증을 설명한다.
- 6)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 병의 영양학적 합병증을 설명한다.
- 7)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방법을 열거하고, 각 염증성 장질환의 특징적인 대장내시경 소견, 방사선학적 소견 및 병리학적인 소견을 설명한다.
- 8)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 병의 감별 진단을 숙지한다. 특히 급성 자기제어성(self limiting) 장염, 약제 혹은 방사선에 의한 장염, 과민성 장 증후군과 감별할 수 있어야 한다.
- 9) 크론병과 결핵성 장염의 감별 진단을 설명한다.
- 10) 염증성 장질환의 내과적 치료를 설명한다.
- 11) 염증성 장질환에서 영양 치료에 대해서 숙지한다.
- 12) 염증성 장질환에서 사용하는 약제의 종류와 적응증, 금기증에 대해서 숙지한다.
- 13)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의 수술적 적응증을 설명한다.
- 14) 독성 거대결장의 치료원칙을 설명한다.
- 15) 난치성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원칙을 설명한다.
- 16)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 병에서 암의 위험성과 감시(surveillance) 원칙을 이해하여야 한다.
- 17) 염증성 장 징환에서의 정신사회적 측면과 개인과 가족의 정신과적 역동에 대해서 이해하여야 한다.
- 18) 베체트 병의 정의, 병리학적 소견, 임상상 및 임상경과를 이해한다.
- 19) 급성 충수염 및 복막염의 정의 병리학적 소견, 임상상 및 임상경과를 이해한다.
- 1-7. 기능성 위장 질환
-
- 1. 장관의 운동 및 감각 생리, 뇌-장 축(brain-gut axis), 장신경계를 이해한다.
- 2. 기능성 위장관 장애의 정의, 분류 및 진단 기준을 숙지한다.
- 3. 위 장관 운동 질환
- 1) 위배출 시간 지연 질환과 단축 질환을 감별한다.
- 2) 당뇨병성 위운동마비의 정의 및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진단 및 치료법을 설명한다.
- 3) 특발성 위운동마비(idiopathic gastroparesis)의 정의 및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진단 및 치료법을 설명한다.
- 4) 수술 후 위장관에 잘 생기는 운동장애 질환을 열거하고 설명한다.
- 5) 기능성 소화불량의 정의, 분류, 원인, 병태생리, 진단 및 치료원칙을 숙지한다.
- 6) 과민성 장 증후군의 원인, 정의, 병태생리, 아형, 진단 기준, 치료를 숙지한다.
- 7) 장관의 운동성을 증가 혹은 감소시키는 약물에 대하여 숙지한다.
- 4. 소화관 운동 질환에 사용되는 검사들에 대한 원리와 한계를 이해하여야 한다.
- 1) 식도내압검사
- 2) 24시간 보행성 식도내 pH 검사
- 3) 위전도
- 4) 방사성 동위원소 위배출능 검사
- 5) 소장 운동검사
- 6) 항문직장내압검사
- 7) 골반전기생리검사
- 8) 대장 통과시간 검사 및 배변조영술
- 9) 담도내압검사
- 5. 다음 검사를 직접 시행하고 그 결과를 판독할 수 있어야 한다.
- 1) 식도내압검사, 항문직장 내압검사
- 2) 24시간 보행성 식도내 pH 검사
- 6. 소화관 운동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-사회 요소을 파악하는 면담법과 정신과적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에 대해 이해한다.
- 1-8. 대장, 직장, 항문관련 질환 및 장간막 혈관질환
-
- 1. 설사
-
- 1) 장의 해부학과 생리학을 이해한다.
- 2) 탄수화물, 지방, 단백질의 소화와 흡수에 대해서 이해한다.
- 3) 담즙염, 특정 비타민(엽산, cobalamin) 및 무기질(철, 칼슘)의 흡수기전을 이해한다.
- 4) 장액(intestinal fluid)과 전해질의 분비와 흡수에 대해 이해한다.
- 5) 설사의 정의와 특징적인 소견을 숙지한다.
- 6) 설사의 발생기전을 대별하고 각각의 원인 질환을 숙지한다.
- 7) 급성 설사와 만성 설사의 진단 방침과 치료 원칙을 숙지한다.
- 8) 설사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의 기전을 이해한다.
- 2. 변비
-
- 1) 변비의 정의와 특징적인 소견을 숙지한다.
- 2) 변비의 발생기전을 대별하고 각각의 원인 질환을 숙지한다.
- 3) 변비의 원인별 기전과 그 치료법을 숙지한다.
- 4) 변비의 진단방법을 숙지하고 각 진단방법을 이해한다.
- 5) 만성 변비의 정의, 원인, 진단과 치료법을 숙지한다.
- 3. 게실
-
- 1) 식도에 발생하는 게실의 종류와 그 발생부위를 설명한다.
- 2) 소장 및 대장 게실의 임상상, 진단 및 치료법을 숙지한다.
- 3) Meckel's 게실의 임상상, 진단 및 치료법을 숙지한다.
- 4) 게실질환의 서양과의 차이점을 설명한다.
- 5) 게실 질환의 예방 대책을 설명한다.
- 4. 장관의 혈관성 질환
-
- 1) 소화관에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동맥의 해부학적 구조와 분포를 설명한다.
- 2) 대장에 부분적 경색증(segmental infarction)을 잘 일으키는 2곳의 위치와 그 이유를 기술한다.
- 3) 허혈성 장질환 의 아형(subtype)과 그에 따른 임상 증상의 차이점을 숙지한다.
- 4) 비폐쇄성 허혈성 장질환이 잘 일어나는 상태를 열거한다.
- 5) 동맥의 색전증(embolism)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을 열거한다.
- 6) 허혈성 복통(abdominal angina)을 이해한다.
- 7) 허혈성 장질환의 주요 증상 및 소견을 이해한다.
- 8) 허혈성 장질환의 진단방법을 설명한다.
- 9) 허혈성 장질환의 치료 원칙을 숙지한다.
- 10) 허혈성 대장염의 임상상, 진단 및 치료법을 숙지한다.
- 11) 대장의 혈관이형성(angiodysplasia)의 임상상, 진단 및 치료법을 이해한다.
- 1-9. 소화관 신생물
-
- 1. 식도
-
- 1) 식도암의 원인, 위치에 따른 발생빈도, 병리학적 특징을 숙지한다.
- 2) 식도암이 예후가 불량한 이유를 설명한다.
- 3) 식도암의 진단과 병기 결정의 원칙을 숙지한다.
- 4) 식도암의 치료 방침을 이해한다.
- 5) 내시경을 이용한 식도암의 고식적 치료를 이해한다.
- 6) 바렛식도의 내시경적 치료와 추적검사에 대해 이해한다.
- 7) 내시경을 이용한 조기 식도암 치료의 원리와 한계를 이해하여야 한다.
- 2. 위
-
- 1) 위 양성 및 악성종양의 종류와 점막성 및 비점막성 종양의 종류를 발생 빈도순으로 분류할 수 있 어야 한다.
- 2) 위암의 고위험인자, 원인 및 예방법을 설명한다.
- 3) 조기위암을 정의하고 종류 및 빈도를 숙지한다.
- 4) 진행위암의 Borman 분류를 숙지한다.
- 5) 위암의 진단방법을 열거하고 조기위암과 진행위암의 감별진단을 이해한다.
- 6) 위암의 병기 분류의 원칙과 임상기를 이해한다.
- 7) 위선암과 림프종의 내시경 및 방사선학적 감별점을 이해한다.
- 8) 재발성 양성위궤양과 위암의 내시경적 차이점을 이해한다.
- 9) 위암의 치료방법과 그 원칙을 숙지한다.
- 10) 조기위암의 내시경적 치료에 대해서 설명한다.
- 11) 조기위암에 대한 점막절제술의 적응증과 한계를 이해한다.
- 12) 위에 발생하는 용종을 감별한다.
- 13) 위선종(adenoma)의 의의를 설명한다.
- 14) 점막하 종양의 종류를 열거한다.
- 15) 점막하 종양의 내시경적 특징을 열거한다.
- 3. 소장 및 대장
-
- 1) 소장에 흔한 악성 및 양성 종양의 종류를 열거한다.
- 2) 소장을 침범하는 림프종의 호발부위와 임상증상을 숙지한다.
- 3) 소장 유암종(carcinoid tumor)의 호발부위와 유암종 증후군을 설명한다.
- 4) 용종증을 분류하고 그 임상상을 열거할 수 있어야 한다.
- 5)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의 유전학, 임상상, 추적검사 및 치료원칙에 대하여 설명한다.
- 6) 대장암의 전구병변 및 고위험인자를 열거한다.
- 7) 대장암의 유전학을 이해하여야 한다.
- 8) 대장암의 선별검사(screeening)의 원칙을 숙지한다.
- 9) 대장암의 임상상과 진단방법을 설명한다.
- 10) 대장암의 병기(stage)를 이해한다.
- 11) 대장암의 수술 원칙과 예후를 설명한다.
- 12) 대장암의 수술후 추적검사를 설명한다.
- 13) 간에 전이된 대장암의 치료에 대하여 설명한다.
- 14) 대장암의 예방에 대해 이해한다.
- 15) 내시경을 이용한 대장암의 고식적 치료에 대해 이해한다.
- 16)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의 정의, 유전학, 치료방침 및 추적검사에 대하여 설명한다.
- 17) 용종의 병리학적 분류와 치료원칙에 대하여 설명한다.
- 18) 용종 절제술의 원리와 시행 후 추적검사의 원칙을 설명한다.
- 19) 용종 절제술후 대장절제술을 시행해야 하는 용종에 대하여 설명한다.
- 1-10. 급성 장 폐색
-
- 1) 장의 가성폐색(intestinal pseudo-obstruction)의 정의를 이해하고 원인 및 치료법을 설명한다.
- 2) 거대결장의 분류, 임상상, 진단 및 치료법을 숙지한다.
- 2-1. 간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한 접근 및 간기능 평가
-
간 질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간의 해부학, 생물학, 병태생리학 등을 알아야 한다.
- 1. 간 질환의 임상적 발현 양상을 알아야 한다.
- 2. 혈청 생화학적 간기능검사와 간염바이러스 검사 등의 적절한 시행 시기와 검사 결과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.
- 3. 간의 조직학과 병리학을 알고 간 질환 진단을 위한 적절한 염색법에 대한 기초지식이 있어야 한다.
- 4. 다음 검사법들의 적증증, 금기증, 한계점, 합병증 등을 알아야 하며 그 결과을 판독하여 간 질환 치료에 적용할 줄 알아야 한다.
- 1) 내시경적 역행성췌담도조영술
- 2) 간담도계의 방사선학적 검사 및 치료술
- 3) 간의 혈관조영술
- 4) 핵의학적 검사
- 5) 경피적 담도조영술
- 6) 초음파검사, 전산화단층촬영, 자기공명촬영술
- 7) 복강경검사
- 5. 수술을 위한 간기능 평가와 수술 후 간기능 악화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.
- 2-2. 빌리루빈 대사와 고빌리루빈혈증
-
다음 질환의 역학, 병태생리, 임상상, 진단, 치료 방법 및 합병증 등을 자세히 알아야 한다.
- 황달 : 비포합형 및 포합형 과빌리루빈혈증
- 2-3. 독성, 약물 유발 간염과 침습성, 유전성, 알콜성, 대사관련 간질환
-
다음 질환의 역학, 병태생리, 임상상, 진단, 치료 방법 및 합병증 등을 자세히 알아야 한다.
- 1) 대사성 간질환 : 지방간, 알코올성 간염, Wilson 병, 혈색소증, α1-antitrypsin 결핍증
- 2) 자가면역성 간질환 :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, 자가면역성 간염
- 3) 약물 유발간염, 독성 간질환
- 4) 임신과 관련된 간담도계 질환
- 5) 수술 후 발생하거나 악화된 간기능 저하
- 6) 간혈관 질환 : 간정맥 혈전증, 간문맥 혈전증 등
- 2-4. 급성 바이러스 간염, 만성 간염
-
- 1. 다음 질환의 역학, 병태생리, 임상상, 진단, 치료 방법 및 합병증 등을 자세히 알아야 한다.
- 1) 급성 간염 : 바이러스성, 약화성, 독성, 허혈성
- 2) 전격성 급성 간부전증 및 합병증 : 뇌부종, 출혈 등
- 3) 만성 간염과 간경변증
- 4) 감염성 간 질환 : 간농양, 간 기생충증 등
- 2. 간염바이러스의 종류, 역학, 특성, 진단, 예방법 등을 자세히 알아야 한다.
- 3. 간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인터페론, 항바이러스제제와 면역억제제의 기전과 적응증, 금기증, 효과 및 합병증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야 한다.
- 2-5. 간경화와 합병증
-
- 1. 다음 질환의 역학, 병태생리, 임상상, 진단, 치료 방법 및 합병증 등을 자세히 알아야 한다.
- 만성 간 질환의 합병증 : 문맥압 항진증, 복수, 간성뇌증,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, 간성 신증후군, 간성 폐증후군, 위식도 정맥류
- 2. 다음 검사 및 치료술의 적응증, 금기증, 한계점, 합병증 등을 알고 시행할 수 있어야 하며 결과를 판독할 줄 알아야 한다.
- 1) 경피적 간 생검술
- 2) 복수 천자술
- 3) 내시경적 식도정맥류 경화술 및 결찰술
- 3. 간 종양, 원발성 간암, 전이성 간암
- 2-6. 간이식
-
- 1. 간 이식이 필요한 환자를 선별하는 방법과 이식을 기다리고 있는 환자에 대한 적절한 처치법을 알아야 한다.
- 2. 간 이식 후 발생하는 합병증을 알고 대처할 수 있어야 하며, 이식 거부반응을 진단하고 면역억제제를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.
- 3. 만성 간 질환 환자의 영양 공급에 대해 알아야 한다.
- 4. 소아 간담도계에 발생하는 질환에 대한 기본 지식을 알아야 한다.
- 5. 간장학 관련 임상 및 기초 연구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.
- 2-7. 담낭과 담도 질환
-
- 1. 담도계 질환의 다양한 임상적 발현 양상을 충분히 알고 있어야 한다.
- 2. 담도계 질환 진단에 있어 적절한 방법과 시기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.
- 3. 담도계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정확히 알고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.
- 4. 방사선학적 수기와 내시경적 수기의 장단점을 정확히 알고, 경우에 따라 시술의 적절성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.
- 5. 담도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을 위해 방사선과 및 외과 의사와 긴밀히 협조할 수 있어야 한다.
- 6. 담도계 질환에 대한 기초지식이 있어야 한다.
- 1) 간담도계 및 췌장의 발생학, 해부학을 알아야 한다.
- 2) 담즙 형성 및 분비의 생리적 현상을 알아야 하며 담즙의 기능을 알아야 한다.
- 3) 담낭 기능, 담낭에서의 담즙 변화 등을 알아야 한다.
- 4) 담낭, 담도, 오디 괄약근의 운동조절 기전과 조절 이상을 알아야 한다.
- 5) 담즙정체의 병태생리학적 기전과 분류를 알아야 한다.
- 6) 담석 형성의 기전을 알아야 한다.
- 7) 담도계 질환 연구에 필요한 생물학적, 분자생물학적, 통계적 기초 지식을 알아야 한다.
- 7. 담도계 질환 진단 및 치료을 위한 내시경 시술의 적응증, 금기증, 합병증 등을 숙지하고 시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.
- 8. 다음 담도계 질환들에 대한 역학, 병태생리, 임상상, 진단 및 치료 원칙을 알아야 한다.
- 1) 담도계 선천성 기형
- 2) 담낭 결석, 담관 결석, 간내담관 결석
- 3) 급성 담낭염과 급성 담관염
- 4) 담낭절제술후 합병증
- 5) 만성 담낭염, 담관염 및 담도 협착
- 6) 담도 출혈
- 7) 담도계 기생충 감염
- 8) 경화성 담관염
- 9) 담낭의 용종성 질환
- 10) 담낭암, 담도암 및 유두부암
- 9. 담도 운동 질환
- 1) 담낭의 기능장애을 이해한다.
- 2) Oddi 괄약근의 기능장애를 이해한다.
- 3-1. 췌장 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한 접근
-
- 1. 췌장의 발생학과 해부학을 알아야 한다.
- 2. 췌장으로부터 소화효소와 췌장액이 분비되는 생리적 기전과 조절기전을 알아야 한다.
- 3. 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의 종류와 기능을 알아야 하며, 소장에서 활성화되는 기전을 알아야 한다.
- 4. 자가소화로부터 췌장이 보호되는 기전을 알아야 한다.
- 5. 췌장의 외분비와 내분비 기능들의 생리적 관계를 알아야 한다.
- 6. 췌장 질환 진단에 이용되는 다음 검사들의 특성을 숙지해야 한다.
- 1) 혈청 아밀라제, 리파제
- 2) 혈청 종양표지자
- 3) 췌장 분비기능 검사
- 4) 췌장 흡입세포검사, 조직검사
- 7. 췌장 질환 진단 및 치료을 위한 방사선학적 시술과 내시경 시술의 적응증, 금기증, 합병증 등을 숙지하고 내시경적 시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.
- 3-2. 급, 만성 췌장 질환
-
1. 다음 질환들의 역학, 병태생리, 임상상, 진단, 치료 및 합병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야 한다.
- 1) 급성 췌장염
- 2) 만성 췌장염
- 3) 췌장암
- 4) 선천성 질환: 환형췌장, 분할췌장, 췌장 발육부전 등
- 4. 기초 및 임상 연구
-
- 1. 의학 논문을 분석할 수 있는 역학, 임상 통계학, 실험 설계, 실험 기법 등의 기초지식을 갖추어야 한다.
- 2. 소화기학 강좌, 문헌 고찰, 연구 세미나 등에 정기적으로 참석하고 발표하며, 내과 전공의 및 의학 관련 학생들을 지도감독 할 수 있어야 한다.
- 3. 기초 연구
- 1) 위장관과 간의 생물학과 분자생물학적 최신 지식을 알아야 한다.
- 2) 기초 연구에 필요한 최신의 연구기법, 동물 실험법, 통계법 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.
- 3) 기초 연구의 가설 설정과 이에 따른 연구 방법 설계를 할 수 있어야 한다.
- 4) 기초 연구 문헌을 비평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기초 연구 발표를 할 수 있어야 한다.
- 4. 임상 연구
- 1) 임상 연구의 도덕성과 필요성을 분석하고, 기획할 수 있어야 한다.
- 2) 임상 연구 방법의 설계, 비용-효과 분석, 생활의 질 분석, 대상군의 선정, 대상군의 크기 결정, 대조군 선정, 편견 개입성 분석, 데이터 관리, 임상적 결과 분석 등을 할 수 있어야 한다.
- 3) 임상 연구 문헌을 비평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임상 연구 발표를 할 수 있어야 한다.